'디스크'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추간판은 척추 뼈 사이에 위치하며, 충격을 흡수하고 척추가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추간판은 내부에 약 80%가 수분으로 이루어진 말랑한 물질인 수핵과, 이를 단단히 감싸 외부 손상을 막는 섬유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추간판의 수분 함량이 점차 줄어들어 탄력이 떨어지거나, 평소 잘못된 자세나 외상 등으로 인해 추간판이 본래 위치에서 밀려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밀려난 추간판이 주변 신경근을 압박하면서 통증과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를 경추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합니다.
[주요 증상]
경추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하면 탈출된 디스크가 신경을 자극하면서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방사통
목에서 시작된 통증이 어깨, 팔, 손가락 등으로 퍼지는 현상입니다. 이는 신경이 지배하는 부위에 따라 통증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저린 감각
팔이나 손가락에 저림, 감각 이상 또는 힘이 빠지는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3. 특정 자세에서 통증 악화
머리를 뒤로 젖히거나 특정 방향으로 움직일 때 목 주변이나 팔로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4. 주요 호발 부위
가장 흔히 문제가 발생하는 부위는 경추 5번과 6번 사이입니다. 이 부위가 탈출되면 통증이 어깨 바깥쪽에서 아래팔 바깥쪽, 그리고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부위의 감각 이상이나 힘의 약화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하나요?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하나요?
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신체검사 및 x-ray, CT, MRI 등을 통해 진단되며, 통증 완화를 위한 다양한 치료법이 있습니다. 증상의 심각도와 개인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결정됩니다.
1. 경막외 신경주사
: 척추 신경을 둘러싼 경막의 바깥쪽에 약물을 주입하여 염증과 신경 자극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간단한 시술로 통증을 빠르게 줄일 수 있어 초기 치료로 자주 사용됩니다.
2. 신경성형술
: 신경 주변의 유착된 조직을 제거하여 신경 압박을 줄이는 시술로, 경막외 신경주사보다 더 효과적인 증상 완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수핵성형술
: 고주파나 레이저를 이용해 탈출된 디스크 내부의 수핵 일부를 제거하여 신경 압박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이 시술은 신경성형술과 함께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